스펙 · 모든 회사 / 모든 직무
Q. 품질관리 직무에 취업준비중입니다.
안녕하세요. 신소재전공이고 상반기 품질관리/ 생산 쪽으로 취업준비하고 있습니다. 품질경영기사는 필기만 따놓은 상태고 대학교때 자동차회사 인턴4개월 경험과 학부연구생 3년 경험이 있습니다. 2024년 하반기에 중공업쪽으로 지원서 넣었는데, 연구개발 직무에서 최종탈했습니다. 직무관련되서 스펙을 더 쌓고 상반기 지원하려고 하는데, 1. 품질직무로 취업하려면 품질경영기사와 더해서 화공기사따는 것이 좋을까요? 2. 중소기업에 1년간 일할 수 있는 기회가 있는데 하는것이 좋을까요? 아니면 자격증취득에 집중하는 것이 좋을 까요??
2024.12.31
답변 1
함께 읽은 질문
Q. skct 준비 기간
sk바이오사이언스 서류를 예상도 못했는데 합격하게 되어서, 급하게 skct 준비 중입니다. 화요일에 서합 메일을 받았고 이번주 금요일에 시험을 친다는데.. 현실적으로 이 기간 안에 합격 안정권에 들을 수 있을까요? 인적성 준비경험 아예 없습니다.
Q. md하고 싶은데 스펙 어떻게 해야할까요?
안녕하세요 저는 전문대 토목과 나온 24살입니다 졸업 후 바로 취업하여 1년정도 다니다가 안 맞는다 생각하여 그만 두고 화장품 회사에 취업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어 글 작성해봅니다 md를 하려면 혹시 어떤 스펙이 필요한지 알 수 있을까요?
Q. 퇴사와 관련하여 질문있습니다.
1. 퇴사 통보는 반드시 한 달 전에 해야 하나요? 만약 한달보다 늦게 통보하면 법적으로 문제가 될까요? 2. 한달 전에 통보하면 공휴일이 많아도 상관없이,예를 들어 올해 10월은 공휴일이 일주일이상인데 10월 1일에 통보해서 10월 31일까지만 근무하고 퇴사해도 문제 없을까요? 3. 퇴사통보 후 상사가 야근을 해서라도 주어진업무 다 끝내고 가라고 해도 정해진 출퇴근시간만 지켜서 근무하고 야근은 거절 가능할지, 퇴사일까지 일이 남아도 이후에 제가 책임을 지지 않아도 되는지 궁금합니다. 4. 퇴사 후 재직 중 업무상 실수나 서류 누락이 발견되면 회사가 수습을 요구할 권리가 있을까요?법적으로 제가 책임져야 할까요? 5. 퇴사 후에도 경력·재직증명서 발급을 요청할 수 있는지, 거절 시 법적으로 문제 삼을 수 있는지 궁금합 니다. 6. 퇴사는 소속 팀장님께 먼저 알리고 인사팀에 전달하는지,인사팀에 직접 통보해도 되는지 알고 싶습니다. 7. 퇴사 사유는 '개인사정‘으로 말씀드려도 괜찮을까요?
궁금증이 남았나요?
빠르게 질문하세요.